IT/Kubernetes_k8s

k9s skin 설정 방법

동구멍폴로 2025. 3. 21. 01:24
반응형

(2023년도 다른 블로그의 글은...이제는 의미 없습니다.)

 

K9s는 Kubernetes 클러스터 관리를 위한 강력한 CLI 도구로,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UI 테마 외에도 커스텀 스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K9s에서 원하는 스킨을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1. 현재 적용된 스킨 경로 확인하기

먼저, K9s에서 스킨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.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세요.

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여러 가지 정보가 출력되는데, 그중에서 Skin File 경로를 확인합니다. 이 경로에 새로운 스킨 파일을 저장하면 됩니다.

2. 원하는 스킨 파일 다운로드 및 저장

K9s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스킨을 제공합니다. 원하는 스킨을 선택하려면 아래의 GitHub 저장소를 방문하세요.

🔗 K9s 공식 스킨 목록

여기서 원하는 .yaml 형식의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, 앞에서 확인한 Skin File 경로에 저장합니다.

예를 들어, dracula.yaml 스킨을 사용하고 싶다면,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다음과 같이 저장합니다.

3. K9s 설정 파일 수정

이제 K9s 설정 파일(config.yaml)을 수정하여 새 스킨을 적용해야 합니다. k9s info 명령어를 실행하면 설정 파일의 경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설정 파일을 열어(vi, nano 등 원하는 편집기를 사용하세요):

그리고 ui 절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.

 

ui:

  맨 밑에

  skin: 만든파일명(yaml 확장자 제외)

 

수정이 완료되면 저장 후 종료합니다.

4. K9s 재실행 및 스킨 적용 확인

이제 K9s를 다시 실행하면, 방금 적용한 스킨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변경 사항이 즉시 반영되므로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새로운 테마로 K9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마무리

K9s의 기본 테마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, 다양한 스킨을 적용하여 자신만의 스타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. 공식 GitHub 저장소에 있는 다양한 스킨을 활용하거나, 직접 YAML 파일을 수정하여 나만의 테마를 만들어 보세요!

 

 

 

 

이렇게 하고 저장만 하면 k9s 실행시 바로 반영된다.

반응형